들어가면서
웹 서비스를 배포하기 위해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서버를 만들려고 합니다! 이 글에서는 인스턴스 생성까지 알아볼 예정입니다. 인스턴스가 하나의 서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오라클 클라우드 계정은 미리 만들어두었습니다!
구획 설정
로그인하면 나오는 페이지에서 왼쪽 상단의 메뉴 버튼을 누릅니다.
메뉴에서 ID & 보안의 ID - 구획으로 들어갑니다.
구획 페이지입니다. 구획을 보여주는 리스트에서 이름, OCID는 원래 표시되지만 임의로 지웠습니다.
구획 리스트 위에 있는 구획 생성을 누릅니다.
구획의 이름과 설명을 작성하고 구획 생성 버튼을 누릅니다.
상위 구획에서 루트의 이름은 임의로 지웠습니다.
인스턴스 생성
구획을 만들었으면 다시 왼쪽 상단의 메뉴 버튼을 클릭하고 컴퓨트 - 인스턴스를 누릅니다.
왼쪽에서 중간에 있는 구획을 방금 만든 sub로 설정합니다.
인스턴스 리스트 위에 있는 인스턴스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인스턴스의 이름을 입력하고 구획이 잘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배치와 보안 아래에 있는 이미지 및 구성을 편집할 것입니다. 편집을 누르고 이미지 변경 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은 화면이 표시됩니다. 우분투를 선택합니다.
우분투의 버전을 선택하고 이미지 선택 버튼을 클릭합니다.
기본 VNIC 정보를 편집합니다.
VNIC 이름을 기입합니다.
새 가상 클라우드 네트워크 생성을 선택합니다.
새 가상 클라우드 네트워크 이름과 새 서브넷 이름, CIDR 블록은 따로 변경하지 않았습니다.
SSH 키 추가에서 자동으로 키 쌍 생성을 선택합니다.
전용 키 저장과 공용 키 저장을 클릭해서 키를 받아둡니다.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난 후에는 다시 키를 발급받을 수 없으니 반드시 키를 받아서 안전한 곳에 보관합니다.
부트 볼륨에서 사용자정의 부트 볼륨 크기 지정을 선택합니다.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무료 티어는 2개의 서버를 합쳐 최대 100GB까지 무료로 쓸 수 있습니다.
예시에서는 50GB로 설정했습니다.
그리고 전송 암호화 사용의 선택을 해제했습니다.
설정이 끝나면 맨 아래의 생성 버튼을 클릭합니다.
생성된 인스턴스의 모습입니다.
조금 기다리면 프로비전 중이 실행 중으로 바뀌고 네모의 색깔이 갈색에서 초록색으로 됩니다.
지역, OCID, 구획, 실행 모드, 공용 IP 주소, 공용 IPv4 주소, 전용 IPv4 주소, 실행 옵션의 속성값들은 임의로 지웠습니다.
수신 규칙 추가
인스턴스를 웹 서버로 쓰려면 HTTP와 HTTPS의 포트인 80번, 443번 포트를 열어야 합니다.
메뉴에서 네트워킹 - 가상 클라우드 네트워크를 클릭합니다.
인스턴스를 생성하면서 같이 만든 vcn이 있습니다.
IPv4 CIDR 블록, 기본 경로 테이블, DNS 도메인 이름은 임의로 지웠습니다.
리스트에서 vcn의 이름을 클릭합니다.
VCN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페이지입니다.
OCID, IPv4 CIDR 블록, DNS 분석기, 기본 경로 테이블, DNS 도메인 이름과 서브넷 리스트에서 IPv4 CIDR 블록은 임의로 지웠습니다.
왼쪽에서 보안 목록을 클릭합니다.
보안 목록 리스트에서 목록의 이름을 클릭합니다.
보안 목록에 대한 페이지입니다.
OCID는 임의로 지웠습니다.
리스트 위에 있는 수신 규칙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소스 CIDR에 0.0.0.0/0을 입력합니다.
대상 포트 범위에는 80,443을 입력합니다.
수신 규칙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수신 규칙이 갱신되었습니다.
마무리하며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구획을 설정하고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오라클 클라우드에서 무료 티어는 두 개의 인스턴스까지 만들 수 있으니 글을 따가가며 하나를 만든 후에 연습 겸 하나 더 만들어 보는 것을 추천드려요~
다음 글에서 예약된 공용 IP를 만드는 방법을 이어서 정리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