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WSL2에서 mongoDB를 설치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저는 django를 사용 중인 프로젝트에서 데이터베이스로 MongoDB를 쓰려고 합니다.
그런데 여러 블로그 글을 참고하여 MongoDB를 설치하려 했으니 계속 오류가 발생해서 직접 설치 방법을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
들어가기 전에
저는 WSL2를 설치할 때 리눅스 배포판으로 Ubuntu 22.04 버전을 선택했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MongoDB 공식 문서를 참고했습니다.
설치할 MongoDB의 버전은 2024년 03월 15일 기준으로 최신 버전인 7.0 Community Edition입니다.
설치하기
Ubuntu 패키지를 업데이트
$ sudo apt update
MongoDB의 public GPG 키를 가져오기
$ curl -fsSL https://www.mongodb.org/static/pgp/server-7.0.asc | \ sudo gpg -o /usr/share/keyrings/mongodb-server-7.0.gpg \ --dearmor
MongoDB에 대한 목록 파일을 생성
목록 파일을 만들 때 본인이 사용하는 Ubuntu 버전에 맞춰야 합니다.
Ubuntu 22.04 버전이라면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echo "deb [ arch=amd64,arm64 signed-by=/usr/share/keyrings/mongodb-server-7.0.gpg ] https://repo.mongodb.org/apt/ubuntu jammy/mongodb-org/7.0 multiverse" | sudo tee /etc/apt/sources.list.d/mongodb-org-7.0.list
다시 Ubuntu 패키지를 업데이트
$ sudo apt update
MongoDB 패키지 설치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최신 안정화 버전으로 설치됩니다.$ sudo apt-get install -y mongodb-org
실행하기
- MongoDB 실행하기
$ sudo systemctl start mongod
MongoDB 자동 시작
만약 시스템이 시작될 때 MongDB가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하면 됩니다.$ sudo systemctl enable mongod
MongoDB 재시작
MongDB를 재시작하려면 아래와 같이 입력합니다.$ sudo systemctl restart mongod
실행 상태 확인하기
아래의 명령어로 MongoDB가 잘 실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sudo systemctl status mongod
MongoDB 쉘에 접속하기
MongoDB 쉘에 접속하려면 MongoDB가 먼저 시작되어 있어야 합니다.$ mongosh
MongoDB 쉘에서 나가기
> exit
MongoDB를 종료하기
$ sudo service mongod stop
삭제하기
- MongoDB를 종료하기
$ sudo service mongod stop
- MongoDB 패키지 삭제
$ sudo apt-get purge "mongodb-org*"
- 데이터 디렉토리 삭제
MongoDB의 데이터베이스와 로그 파일을 삭제합니다.$ sudo rm -r /var/lib/mongodb
$ sudo rm -r /var/log/mongodb
마무리하며
WSL2에 MongoDB를 설치하고 삭제하는 방법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처음에 공식 문서를 읽지 않고 여러 블로그 글만 따라했었습니다. 때문에 무엇을 하는 과정인지도 모르겠고 설치 중에 오류도 발생했었는데요. 공식 문서를 보고 블로그 글까지 작성해보니 훨씬 잘 정리된 느낌이 들었습니다! 다음 번에는 MongoDB를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다루어보겠습니다.
오늘도 긴 글 읽어주셔서 고맙습니다 😊
'Mongo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goDB의 보안 설정과 계정 (0) | 2024.03.16 |
---|